👶 양육비, 어떻게 계산되나요?
부모가 이혼하거나 사실혼 관계를 정리할 때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양육비입니다.
하지만 “양육비는 누가 얼마나 부담해야 하나요?”라는 질문에 명확하게 답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 주변 상황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.
2025년 기준으로 법원은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제공하고 있으며,
이를 통해 부모의 총소득, 자녀 수, 자녀 연령에 따라 적정 양육비 금액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.
📊 양육비 기준표 (간이 요약)
자녀가 유치원, 학교를 다니는 나이라면 지출되는 비용이 더 많기 때문에 양육비 또한 더 높아지게 됩니다. 아래 부모의 총 소득과 자녀 나이에 따른 양육비 기준표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총소득(만원) | 자녀 1명 (0~4세) | 자녀 1명 (5~18세) |
---|---|---|
300 | 50만 원 | 60만 원 |
400 | 65만 원 | 75만 원 |
500 | 75만 원 | 87만 원 |
600 | 85만 원 | 100만 원 |
700 | 95만 원 | 110만 원 |
📌 위 표는 평균치이며, 실제 부담은 부모 각각의 소득 비율에 따라 분담됩니다.
📎 예시로 보는 양육비 계산 방식
부모 1: 220만 원 / 부모 2: 180만 원 → 총 400만 원
자녀 수: 1명 (0~4세) → 기준 양육비: 65만 원
구분 | 금액 |
---|---|
부모 1 비율 | 220 ÷ 400 = 55% |
부모 1 부담 | 65만 원 × 55% ≒ 357,500원 |
부모 2 부담 | 65만 원 × 45% ≒ 292,500원 |
※ 이혼 시 비양육자가 자신의 비율만큼 현금으로 지급하게 됩니다.
📌 부모 중 누구에게 양육비 책임이 있을까?
양육비는 무조건 한쪽이 전액 부담하는 것이 아닙니다. 실제 법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눕니다.
상황 | 설명 |
---|---|
양육자 | 생활비, 주거비 등으로 양육비 일부 직접 부담 |
비양육자 | 본인의 소득 비율에 해당하는 양육비를 현금 지급 |
공동 양육 시 | 부담 비율 협의 (법원 조정 가능) |
🔍 실시간 자동 계산기로 쉽게 확인해보세요!
양육비 계산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
소득과 자녀 수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양육비 자동 계산기를 준비했습니다.
👇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소득별 양육비 자동 계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
⚠️ 계산 전에 꼭 알아두세요!
- 기준표는 참고용이며, 실제 소송 시 조정 가능합니다.
- 정해진 금액을 무조건 지급해야 한다는 법적 강제성은 없습니다.
- 하지만 법원이 판단하는 기준선이므로 신뢰도는 매우 높습니다.
- 이 외에도 한부모가정 지원금, 긴급복지 제도 등 추가 혜택이 존재합니다.
👉 관련 글도 함께 참고해보세요:
- 한부모가정 정부지원금 총정리
- 긴급복지지원제도 신청방법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양육비 계산기 결과가 곧 법적 기준인가요?
A. 아니요, 법원 기준표를 기반으로 하지만 실제 재판에서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.
Q. 소득이 없는데도 양육비를 내야 하나요?
A. 기본적으로 능력에 따라 판단되며, 무소득일 경우 감액 또는 유예될 수 있습니다.
Q. 계산된 금액보다 많이 주면 문제가 되나요?
A. 전혀 없습니다. 합의만 잘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지급도 가능합니다.